인간에 관한 연구/이런 사람은 왜?

나다운 게 대체 뭐길래? 나답다는 말의 정의는?

난원래그래 2025. 2. 4. 15:07

내가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반응이 그래, 역시 너답다! 혹은 너답지 않게 왜 그래? 이런 말을 들을 때가 있잖아요. 이거 솔직히 드라마 속 대사로 나올 때도 오글거렸는데 현실에서도 많이 쓰고 있더라고요.

 

저런 말을 들었을 때 대답은 항상 이거잖아요.

 

나다운게 대체 뭔데?

 

저도 정말 궁금합니다. 나답다는 게 도대체 무슨 뜻이길래 나다운 걸 강요하는지 말이죠.

 

나답다는 말의 진짜 속뜻은?

너는 너, 나는 나. 사람마다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지고 태어나 자신만의 스타일을 완성해 가며 인생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는데요, 나다움이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나의 진짜 모습이 아닐까 싶어요.

 

거울 속의 나를 바라보다
이게 진짜 나다운 모습이 맞을까?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나다운 모습과 다른 사람이 보는 나답다는 건 현실적으로 괴리가 있더라고요. 예를 들어 나는 완벽주의자에 가까운 성향이라 생각해서 실수를 하면 나답지 않게 왜 그랬을까 자책을 하는데, 그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던 친구는 덜렁대는 모습이 역시 너답다며 예상했다는 듯이 웃어넘기더군요.

 

여기서 더 오글거리는 포인트는 내 이름까지 넣어서 문장을 완성할 때입니다.

 

"그럼 그렇지, 역시 강민수(가명) 너답다 너다워!" 이런식으로 말이죠. 내가 드라마 속 주인공도 아닌데 이런 멘트를 굳이 들어야 하나 싶기도 하네요.

 

그런데 사람들은 왜 이건 너답지 않아, 이건 너다워 등으로 나의 생각과 행동에 제약을 두려 하는 걸까요?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나다움이란 건 나의 평소 행동으로 미루어볼 때 익숙한 모습을 토대로 이 사람은 이런 말과 행동을 할 것이라고 추측하며 그 틀에 나를 가두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

 

만약 그들이 생각하는 나다운 모습이 아니라, 그와 반대되는 말과 행동을 했을 때 크게 실망을 하기도 하더라고요.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는 너답지 않다는 말이 굉장히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나에 대해 얼마나 잘 안다고 그런 말을 하는 가 싶어서요.

 

MBTI도 계속 바뀌는데 나다움이란게 한 가지로 정의될 수 있을까요? 평소에 친구 말을 잘 들어주다가, 오늘은 기분이 안 내켜서 가만히 들어주지 않으면 나답지 않다는 말을 듣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대답해주고 싶네요.

나다운걸 뭐라고 생각하는거야? 이것도 나야.

 

추측해서 하는 말이 듣기 싫어요!

 

추측해서 하는 말이 듣기 싫어요

모든 대화를 실제 팩트로만 이야기하기는 어렵겠지만, 유난히 자기만의 생각으로 추측을 더해서 이야기하는 게 버릇인 사람과는 대화가 하기 싫더라고요. 가령 친구가 헤어졌다고 하면 들은대

ddokddokbaksa.tistory.com

 

아무리 친구 사이라도 이런 말은 듣기 싫네요.

 

아무리 친구 사이라도 이런 말은 듣기 싫네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친한 사이일수록 그 선을 쉽게 넘어버리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우리가 친한 사이여도 그렇지, 이건 좀 선을 넘네? 순간 그

ddokddokbaks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