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관한 연구/부모와 자식 사이32 자식을 믿어주는 부모, 무조건 믿어주기의 효과는? 우리 부모님은 내가 무슨 결정을 하든지 끝까지 믿고 기다려주셔서 나는 그게 부모님께 가장 감사한 일이야. 이렇게 말하는 친구들이 너무 부러웠어요. 저희 부모님은 정반대셨거든요. 사소한 일부터 큰 결정까지 무조건 불신의 눈초리로 안 좋게 이야기하시는 부모님 덕분에 의욕이 꺾일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어요. 그러다 보니 습관적으로 어차피 안 되겠지 하는 부정적인 마음과 말해봤자 반대하실 거라는 생각 때문에 비밀이 많아지기도 했어요. 자식 입장에서는 무조건 믿어주는 부모가 최고일 것 같은데 이렇게 믿어주기만 하는게 과연 최선일까요? 자식을 무조건 믿어주는 부모님아마 자식을 전적으로 믿어주는 부모님보다는 자식의 말을 그대로 믿지 못하고 의심부터 하는 부모님이 더 많으실지도 모르겠네요. 사실 의심이라는 표현보다는 .. 2025. 1. 22. 자식의 금전 문제 부모가 해결해 줘야 하나 자식의 키우다 보면 정말 별의별 일들이 다 생긴 다지만, 자식이 돈 사고를 칠 때마다 가슴이 철렁합니다. 본인이 사고를 쳤으니까 본인이 해결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어김없이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왜냐하면 스스로 해결하기에 너무 큰 액수이기도 하고, 어쩌면 애초에 잘 못 되더라도 부모를 믿고 사고를 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솔직히 당장 먹고 살기에도 넉넉하지 않은데 노후 준비도 해야하는데 이렇게 자식이 사고를 칠 때마다 목돈을 가져가니 근심이 끊이질 않습니다. 부모라는 이유로 도대체 언제까지 자식의 돈문제를 해결해 줘야 할까요? 부모에게 돈 문제 해결해 주길 바라는 자식자식 하나 키우는데 많은 돈이 들어가는 건 부모로서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뜻하지 않은 큰 돈이 들어가는.. 2025. 1. 8. 아이 친구의 부모와 잘 지내야 할까요? 결혼을 하고 나서 아이가 생기면서 인간관계가 달라진다고 하는데요, 사이가 멀어지는 친구들이 늘어나는 만큼 새로운 사람들과 인연을 쌓아하기도 합니다. 그중에서 아이를 중심으로 한 인맥도 생겨나더라고요. 아이가 어린이집이나 학원, 학교 등을 다니면서부터 알게 되는 아이 친구 부모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주변에서 하는 이야기로는 또래 부모들과 잘 지내면 좋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사실 원래부터 알던 사람들도 아니고, 솔직히 몇 번 보니까 거리를 두고 싶을 만큼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도 있어요. 아이가 친구가 생긴건 좋은데 부모끼리도 꼭 잘 지낼 필요가 있을까요? 아이들끼리 친하면 부모도 친구가 된다?예전에는 한동네에 사는 사람들끼리 서로 친해서 부모도 서로 친구, 자식도 서로 친구인 가정이 정말 많았어요. 하.. 2025. 1. 3. 부모가 자식을 포기하게 될 때 오죽하면 자신이 낳은 자식에 대해 더 이상의 믿음과 기대도 없이 자식을 포기한다는 마음을 먹게 되었을까요? 그 심정은 쉽게 짐작하기도 어려운 크나큰 고통의 결정이었을 것입니다. 넌 더이상 내 자식이 아니다! 어찌 보면 부모의 책임감을 끝까지 다하지 못해서 야속하고 비정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럴 수밖에 없는 여러 사정들이 있습니다. 더 이상 부모 자식 사이를 유지하기 어려울 때대부분의 부모는 자식이 아무리 못난 짓을 하더라도 결국은 바른 방향으로 가주길 바라며 인내하는 마음으로 자식을 돌고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내가 이 세상에 내놓은 생명체이기 때문에 부모라는 막중한 책임감이 항상 뒤따라 옵니다. 해서는 안 되는 행동과 위험한 행동, 남에게 폐를 끼치는 행동 등 살아가며 주의해야 .. 2024. 12. 23. 독립한 자녀가 자취방에 못 오게 하네요. 한 집에서 거의 한평생을 함께 살았으면서 독립한 이후로는 자기 집에 절대 못 오게 하네요. 부모 자식 사이에서 내외하는 것도 아니고, 사는 곳만 달라졌을 뿐인데 갑자기 왜 이러는 걸까요? 가서 청소도 해주고, 반찬도 만들어주고 하면 좋을텐데 정확한 이유도 알려주지 않으면서 무조건 오지 말라고만 하니까 속내가 더 궁금합니다. 이제는 자기도 다 컸고 독립까지 했으니까 알아서 살아보겠다는데, 다른 집 자녀분들도 다 이런가요? 자취하는데 부모가 찾아오는게 싫은 이유모든 자녀분들이 그런 건 아니지만, 대부분은 부모님이 연락 없이 내가 혼자 살고 있는 집에 찾아오는 걸 반기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연락하고 찾아오시는 것 또한 환영하지는 않아요. 내가 집으로 가서 부모님을 보고 오는 건 괜찮은데 부모님이 나를 보러 .. 2024. 12. 6. 자랑이 심한 사람, 자식 자랑하는 심리는 뭘까? 나에게 좋은 일이 생기거나 남들이 탐내는 무언가를 내가 가졌을 때 사람들에게 막 자랑하고 싶지 않나요? 하지만 요즘 세상에는 그렇게 자랑을 늘어놓았다가, 축하는커녕 시기질투의 대상이 될 수 있어요. 실제로 그런 경험을 한 이후로 함부로 자랑하지 말아야 겠다는 인생의 철칙이 생기기도 했는데요, 주변에 보면 자랑하는 걸 참 좋아라 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특히 자식 자랑을 참을 수 없는 분들도 많은데 근본적으로 자랑하고 싶은 심리는 왜 생기는 걸까요? 자랑하고 싶은 이유와 자랑하면 생기는 일자랑을 즐기는 사람을 살펴보면 나에게 생긴 자랑거리를 남들에게 널리 알리고 싶어서 참을 수가 없어 보이더라고요. 이것 좀 봐라 대놓고 자기 자랑이 늘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교묘하게 자랑을 섞어서 말하는 사람도 있어.. 2024. 11. 25.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