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챌린지9

감정에 따라 기억도 달라지더라 함께 같은 일을 보고 겪어도 서로 그 기억은 다를 수 있어요. 그때 그 순간의 내 감정에 따라 좋은 기억으로 남을 수도, 잊고 싶은 안 좋은 기억으로 남을 수도 있거든요. 왜 기억이란건 있었던 사실 그대로를 다시 꺼내어볼 수 없고, 나의 감정에 의해 왜곡이 되는 걸까요? 누군가에게 좋은 기억으로 남고 싶다면 함께 하는 순간마다 좋은 감정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네요. 감정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은?우리가 겪었던 어떤 특정한 순간을 기억해 낼 때, 일반적인 회상보다 조금 더 강하게 기억에 남는 일들이 있습니다. 그 순간의 주변 환경과 분위기, 날씨, 소리, 심지어 냄새까지도 생생히 기억에 남더라고요.  평상시와 같은 일상적인 일들은 그렇게 기억되기 어렵지만, 감정적으로 너무 기쁘거나 너무 슬펐던 .. 2024. 11. 9.
우는데 눈물 안 나오는 사람도 있죠? 평소에 눈물이 없는 편이라 감정이 메말랐다는 소리도 종종 들어요. 하지만 감정을 못 느끼는 게 아니라 슬프고 눈물이 핑 돌기까지는 하는데 결정적으로 주르륵 흘러내릴 정도로 눈물이 나오지는 않더라고요. 비슷한 예로 어떤 사람은 분명 표정과 소리는 엉엉 우는데 눈에서 눈물 한 방울이 안 떨어지는 사람도 있어요. 이런 경우엔 가짜로 우는 척 연기하는 건가 하는 의심을 받기도 하죠. 울긴 우는데 눈물이 안 나오는 사람 이해되시나요? 슬픈데 눈물이 왜 안나올까?너무 눈물이 많아서 고민인 사람이 많은 반면 반대로 눈물이 없어서 고민인 경우는 흔치 않은 것 같아요. 크게 단점으로 느끼지 못해서일까요? 그런데 막상 정말 울고 싶고 마음이 너무 괴로운데 속시원히 울 수 없을 때는 답답해서 참을 수가 없습니다. 눈물이 팍.. 2024. 11. 8.
자녀의 사생활은 어디까지 지켜줘야 할까? 부모님의 교육 방식이나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부모가 자식의 모든 걸 다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더라고요. 저희 엄마 역시 그런 편이셨는데 일기장이나 휴대폰 검사에서부터 친구들과 나눈 이야기도 들여다보고, 책상 서랍도 수시로 열어보셨어요. 왜 남의 물건을 함부로 만지시냐고 대들 때마다 남이 아니라 부모이기 때문에 자식에게 어떤 일이 있는지 모두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셨습니다. 자녀를 지키기 위한 수단이 될 수도 있지만 자녀에게도 분명 개인적인 사생활이 있는 건데 너무 하지 않나요? 자녀의 사생활을 대체 어디까지 알아야 하며 왜 부모 자식간에도 사생활을 보호해주어야 하는 걸까요? 부모가 자녀의 사생활을 몰래 들여다보는 이유아주 어릴 때는 부모의 보호와 통제 아래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따로 사생활 .. 2024.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