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시기가 점점 늦어지다 보니 중년의 나이에도 아직 미혼이신 분들도 많고,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혼자되신 분들도 정말 많더라고요. 4060 세대를 중년이라고 본다면 이 나이대에 연애를 새로 시작해서 중년 결혼으로 이어지는 건 어떨까요?
어떤 분들은 이제와서 애 낳고 살기도 어려운데 무슨 결혼이냐며 연애만 하라는 분들도 있고, 아직 살아갈 날이 많으니 하루라도 빨리 반려자를 찾아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게 낫다는 분들도 있어요.
중년의 나이에 연애를 시작할 때는 연애와 결혼 사이에 더 고민이 깊어지기도 하네요.
중년의 연애와 결혼은 더 신중하다
나에게 호감을 보이는 이성을 만나거나, 내가 관심이 가는 사람이 생겼더라도 중년의 나이라는 이유로 머뭇거리게 될 때가 있어요. 젊었을 때는 이런 저런 생각 없이 그냥 일단 만나봤을 텐데 왜 갑자기 만남 자체를 주저하게 되는 걸까요?
중년이 되었다고 해서 이성에 대한 모든 관심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날은 누군가를 만나고 싶다는 마음이 깊어질 때도 있고, 또 어떤 시기에는 외로움에 익숙해져서 적극적으로 만나 볼 생각이 수그러들기도 해요.
지금에 와서 누군가를 만나게 되면 그 뒤에 벌어질 일들에 대해 현실적인 고민이 먼저 앞서기도 해서 무작정 감정만으로 연애를 시작하게 되지는 않더라고요.
나이가 어릴 때는 결혼을 자칫 성급하게 결정해서 실수를 하더라도 얼마든지 새로 인생을 바꿔볼 기회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중년 이후로는 실수하면 안 된다는 생각때문에 신중에 신중을 거하게 됩니다. 그래서 연애와 결혼을 시작하기가 쉽지 않아요.
확실히 보장 된 사람을 만나고 싶다면 중년 결혼을 전문으로 이어주는 결혼 정보 회사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재혼 전문 업체도 있고, 나이와 조건에 맞는 사람을 소개받을 수 있으니까요.
중년의 나이가 되었는데 결혼 적령기를 지나 혼자 지낸다는 것만으로도 주변에서 연애라도 해라, 결혼은 포기한 거냐 등의 여러 안 좋은 소리를 듣게 됩니다. 하지만 마음이 아예 없는 게 아니라 어디서 만나야 할지 모르겠다니까요?
현실적으로 생각해 보면 주변에서 아는 사람을 소개해 주지 않는 이상 새로 누군가를 만날 기회조차도 줄어들어서 자연스러운 만남을 추구하기가 더 어려워진 것도 한몫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솔직히 나이가 들어도 자연스러운 만남을 선호하는 분들이 더 많아요. 일대일로 낯선 사람을 만나 이야기하는 소개팅이나 선 자리에 유난히 약한 분들도 많거든요.
그럴 때는 여러 모임에 참석하거나 동호회, 동창회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인연을 찾아보시거나, 연애나 결혼 상대를 찾고 있다는 걸 어필해서 소개를 받도록 합니다. 중년 만남은 지인 소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가 가장 많더라고요.
그 사람의 심리가 궁금하다 - 40대 연애 심리
상대방의 심리에 흥미를 느끼는 이유와 연애 심리저 사람은 왜 저렇게 행동하지? 그 심리는 도대체 뭘까? 이런 호기심은 누구나 한 번씩 자연스럽게 생각해 보게 됩니다. 특히 인간 심리는 사람
ddokddokbaksa.tistory.com
50대가 되면 이렇다는데... 변화가 무섭네요
너무 젊어진 요즘 50대, 그래도 변화는 찾아온다 예전보다 너무 젊어진 외모로 평균적으로 10살 정도 어리게 보인다는 요즘 50대. 하지만 인생에서 50대의 의미는 남다르며 정신적, 신체적으로 많
ddokddokbaksa.tistory.com
나이에 따라 연애 감정도 달라진다?
연애의 감정이 나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는데요,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연령대에 따라 연애의 감정에도 차이를 보인다고 합니다.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연애
ddokddokbaksa.tistory.com
'인간에 관한 연구 > 결혼은 이렇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어머니가 너무 좋아요, 며느리가 딸보다 좋아요 (0) | 2025.03.21 |
---|---|
결혼식 안 할 건데 친구 결혼식 꼭 가야 하나요? (0) | 2025.03.18 |
시댁 손절하고 손주 안 보여주는 며느리 (0) | 2025.02.28 |
자식 결혼식에 안 가는 부모도 있나 (0) | 2025.02.20 |
결혼식 앞두고 남의 결혼식 가면 안 된다던데 (1) | 2025.02.07 |